Business News비지니스뉴스

홈아이콘 HOME
커뮤니티
비지니스뉴스 화살표
제목 네이버 '슈퍼 갑질' 횡포에 피눈물 흘리는 골목상인들 작성일 2013-09-02
첨부파일
컴퓨터 수리업체 컴닥터119의 이병승 대표는 "네이버가 우리 회사 상호명인 '컴닥터'를 키워드 검색 광고 매물로 내놓아 유사 업체들의 광고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면서 "특허청으로부터 받은 상표등록증과 대법원 판례를 근거로 네이버 법무팀을 찾아가 항의했지만 네이버에서는 '상표법을 지켜줄 수 없으니 마음대로 하라'는 식이었다"고 말했다.

30년 넘게 동일한 상호로 가게를 운영하고 있는 송모(57)씨는 네이버의 검색광고(특정 단어로 검색하면 업체 정보가 뜨도록 하는 광고 방식)때문에 영업에 타격을 입었다. 네이버가 송씨 가게의 상호명과 유사한 단어를 검색 광고 매물로 내놓았기 때문. 가장 많은 광고비를 제시한 업체 순서대로 상단에 표출하는 네이버의 정책 때문에 송씨의 가게는 검색 결과 순위에서 하위로 밀려났다. 송씨는 "우리 가게 이름을 검색하면, 정작 우리 사이트는 검색이 안 되고 다른 가게들만 검색된다"고 말했다.
소상공인연합회 창립준비위원회가 제2차 네이버 피해사례 보고회를 개최했다. 최승재 위원장(가운데)이 피해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최승재 위원장 제공
소상공인연합회 창립준비위원회가 제2차 네이버 피해사례 보고회를 개최했다. 최승재 위원장(가운데)이 피해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최승재 위원장 제공


소상공인연합회 창립준비위원회는 30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제 2회 소상공인 네이버 피해 사례 보고회'를 열고 네이버의 검색 광고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례들을 발표했다.

입찰 경쟁으로 이뤄지는 네이버의 검색광고 방식 때문에 올 상반기 1억원이 넘는 광고 비용을 지출한 사례도 소개됐다.

경기 성남시에서 꽃집을 운영하는 A(51)씨는 2008년부터 네이버에 키워드검색 광고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검색 광고를 통해 매출을 늘릴 수 있었으나, 검색 결과에서 다른 업체들보다 상단에 노출되기 위해 점점 더 높은 광고비를 지불해야 했다. 졸업, 입학과 가정의 달이 몰려 있는 상반기에는 6개월동안 1억원이 넘는 광고비가 들어갔다. A씨는 "돈 벌려고 광고하는 게 아니라 죽지 않으려고 광고한다"고 하소연했다.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 창립준비위원장은 "네이버에서 '꽃배달'이라는 키워드의 검색 광고 단가는 2008년 780만원대에서 최근 2600만원으로 3배 넘게 급등했다"면서 "영세 자영업자들이 네이버를 대체할만한 광고 플랫폼을 찾지 못해 울며 겨자먹기로 치솟는 광고비를 지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네이버가 허구 매물을 판매하는 업체를 검색광고 상단에 노출해 소비자의 피해를 유발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네이버에서 '중고차'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하면, 직원 정보가 분명하지 않고 차량의 성능점검표도 조작된 허위 중고차 매매 업체가 화면 상단에 뜬다는 것이다. 네이버에 신고를 해봐도 "정부에서 규제하지 않는 한 광고하겠다는 사업자를 막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대답만 돌아왔다.

또다른 사례로, 네이버의 가격 정보 서비스에 노출된 업체들 중 일부가 부가세가 포함되지 않은 거짓 가격을 내세워 소비자에게 불편을 초래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김대준 한국컴퓨터소프트웨어판매조합 이사장은 "이들 일부 업체는 '부가세 없이 싼 가격에 구매하고 싶으면 대포 통장으로 돈을 보내라'며 불법 영업을 일삼고 있는데도, 네이버는 이런 탈세 거래를 방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네이버가 검색 시장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광고료 청구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왔다. 네이버에 검색광고비로 매달 1000만원씩 지불하고 있다는 강모씨는 유효 클릭 횟수를 알기 위해 IP주소(컴퓨터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 주소)를 포함한 광고료 청구내역서를 네이버에 요청했다.

경쟁사가 악의를 갖고 상대 업체의 홈페이지를 수백회 반복 클릭, 광고료를 발생시키는 '부정 클릭'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네이버에서는 "청구내역서를 요구하면 광고를 끊어버리겠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소상공인연합회 창립준비위원회는 이날 네이버에 검색광고 폐지와 광고료 표준의 도입을 요구했다. 보고회에 참석한 권순종 소상공인 네이버 대책위원장은 "네이버가 광고료 책정 기준을 투명하게 공시하고, 물가 당국과 공정위원회에서 이를 철저하게 감시ㆍ지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승재 위원장은 "네이버가 상생을 위한 전향적인 자세를 취하지 않는다면, 청와대와 국회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하며 항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조선비즈

 

사진설명 : 본협회 사상철 회장님이 네이버 피해보고사례회에 참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