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News비지니스뉴스

홈아이콘 HOME
커뮤니티
비지니스뉴스 화살표
제목 본격화된 정부조직개편..산업통상자원부, 통상·중소기업 부문 뺏기나 작성일 2017-05-24
첨부파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출범으로 조직개편 논의 공식화
산업부선 '산업청으로 격하되나'란 자조섞인 반응도
정권교체 후 해체 된다던 미래부는 생존 확률 높아져
내년 지방선거 전후로 대규모 조직개편 일어날 수도
24일 오전 서울 통의동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서 김진표 위원장(오른쪽에서 두번째)이 기획재정부 업무보고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1980-2017=''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문재인 정부의 부처 조직개편 움직임이 공식화됐다. 국정 운영의 밑그림을 그리는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출범하면서 정부조직개편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김진표 국정기획위 위원장은 23일 정부조직 개편과 관련해 “(개편안은)국정기획위를 당연히 거쳐야 한다”며 “다만 큰 개편은 대선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입을 통해서 발표됐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조직 개편에 대해 이미 발표했다는 뜻은 무엇일까. 박광온 국정기획위 대변인은 “(중소기업청을 확대해) 중소기업벤처부를 신설하고, (산업통상자원부의) 통상교섭 기능을 외교부로 이관하며, (국민안전처를) 소방청과 해경청으로 분리·독립하는 등 대통령이 얘기한 틀 안에서 개편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대통령 탄핵사태로 조기 대선이 치러지는 걸 고려해 정부조직개편을 최소화하겠다면서도 위 세 가지 사항은 대통령에 당선되면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해왔다.

국정기획위의 방침에 따라 가장 큰 변화를 겪게 되는 부서는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가 될 전망이다. 통상 부문이 외교부로 옮겨갈 가능성이 큰 데다 중소기업벤처부 신설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계획대로 중소기업청을 확대해 중소기업벤처부를 만든다면 업무가 산업부와 상당 부분 중복된다. 중소기업 육성 등 산업 기반 관련 부서가 중소기업벤처부로 떨어져 나갈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중소기업계에서는 산업부 내 산업 업무를 중소벤처기업부로 옮겨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은 지난 11일 “산업부에서 산업 정책에 관한 업무는 중소기업벤처부로 다 가져와야 한다”며 “중소기업벤처부는 산업 현장을 관리하고, 산업부는 정책을 하는 투트랙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산업부에서 중소기업 지원 기능인 수출, 연구·개발(R&D) 업무 등을 중소벤처기업부로 옮기고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벤처, 창업 기능을 이관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중소기업청도 중소기업벤처부로 승격됐을 때 타 부처에서 중소기업과 관련한 어떤 업무와 산하 기관을 가져와야 하는지에 대해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국정기획위에 할 업무보고에서도 조직개편 관련 내용을 보고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정부부처의 업무보고를 받기 시작한 24일 오전 통의동 국정기획위에 부처 직원들이 관련 자료를 들고 들어오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1980-2017=''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계획대로 조직이 개편되면 산업부는 사실상 에너지(자원)와 수출 등 무역관련 부서만 남게 될 확률이 높다. 한 산업부 고위 관계자는 “지금 방침대로 개편이 이뤄지면 산업부는 장관이 있는 ‘부’로 보기도 힘들게 될 것”이라며 “조직 내에선 ‘산업청으로 격하돼 대전정부청사로 옮겨야 하는 것 아닌가’란 자조섞인 말까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정권이 교체되면 조직이 공중분해될 것이란 예상이 파다했던 미래부는 산업부와 달리 안도의 한숨을 쉬는 분위기다. 당초 대선 기간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해 정치권과 학계에선 박근혜 정부에서 신설된 미래부의 해체를 전제로 한 다양한 정부조직 개편안을 쏟아냈다. 하지만 대선 직전 문 대통령이 큰 폭의 조직 개편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표명하며 미래부를 해체하지 않겠다는 뜻을 표명하며 운명이 바뀌었다.

미래부는 기존 과학업무와 함께 산업부에 분산돼 있는 정보통신기술(ICT) 부문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미래부 내부에선 문 대통령이 국무조정실장으로 임명한 홍남기 전 1차관의 후임과 신임 미래부 장관의 인선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 조직 개편은 내년에 본격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이낙연 총리 후보자는 23일 2단계 조직개편안을 언급했다. 최소한의 정부조직 개편안을 1단계로 진행한 뒤 내년 하반기 원구성과 개헌이 추진되는 시점에 2단계로 조직개편안을 하자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정치권에서 개헌 시점으로 언급되는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전후에 대규모 조직 개편이 이뤄질 수 있다. 김진표 위원장 역시 2단계 정부조직개편 방안에 대해 “가능한 방법 중 하나”라고 말했다.

관료들 사이에선 조직 개편에 대한 불만도 나온다. 한 경제부처 고위 관료는 “한·미 FTA 재협상, 중국의 무역보복 해소 등 현안이 있는 상황에서 조직 체계를 흔들면 전략 수립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정부가 바뀔 때마다 부처를 붙였다 떼었다 하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될 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 내에서도 섣부른 개편 움직임을 경계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국정기획위 전문위원단장을 맡은 김성주 전 의원은 “정부 부처가 자기 이익에 맞는 개편안을 들이밀게 되면 (국정기획위가)망가지기 시작한다”며 “국정기획위에서 공식적으로 정부조직 개편을 다루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출처: 연합뉴스